티스토리 뷰




곧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는데요. 요즘은 실물 신분증 없이 모바일 신분증으로도 사전투표 혹은 본 선거일에 본인확인이 가능하더라구요. 오늘은 스마트폰만 챙겨서 투표할 수 있게 pass앱에서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투표선거_모바일신분증






사전투표 및 선거 모바일 신분증만 들고가도 될까요?




네, 모바일 신분증만 들고가도 투표가 가능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인정되는 신분증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명시했는데요.






관공서나 공공기관에서 발행하고, 사진이 첨부되어있어 본인확인이 가능한 신분증명서는 가능합니다.

선거시 인정되는 신분증

  • 주민등록증
  • 여권
  • 운전면허증
  • 공무원증
  • 국가유공자증
  • 장애인복지카드
  • 외국인등록증
  • 자격증
  • 학생증
  • 국가기관 또는 학교에서 발급한 모바일 신분증


저도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신분증을 인정해주더라구요.


한가지 주의할 점은 모바일 신분증 캡쳐본은 인정하지않고, 현장에서 pass앱을 열어서 모바일 신분증을 직접 보여주어야만 가능한 점 참고하세요!!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모바일 신분증은 정부24, pass앱에서 발급이 가능한데요.


  • 정부24 : 주민등록증만 발급 가능
  • pass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가능


패스 앱에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둘다 가능하다고 해서 저는 패스 앱으로 신청을 했어요.



 

 

 

 

 

 

 

 

 

 

01. 앱스토어 등에서 pass 검색 후 다운로드


패스 검색하니 skt, kt, lg 등 통신사별로 다르더라구요. 가입한 통신사에 맞춰서 다운받았습니다.



 

 

 

 

 

02. 회원가입 하기

 

 

 

 

 

 

 

 

 

 

 

 

03. 메인 홈에서 모바일 신분증 터치 후 원하는 신분증 선택후 등록하기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둘다 등록가능한데요. 주민등록증은 발급일자와 생년월일 기본 정보만 알면 등록가능하고, 운전면허증은 실물 운전면허증이 꼭 필요하더라구요.

 

 




카메라로 실물 운전면허증을 찍어야만 등록이 가능하거든요. 대신에 두가지 신분증 모두 카메라로 실물 얼굴 인증도 해야합니다.

 



 

 





처음엔 실패했는데 (사진이 10년전 사진;;;) 두번째 하니까 인정되서 무사히 등록 가능했어요.













오늘은 사전투표 및 국회의원선거등 투표 시 모바일 신분증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는데요. 패스 앱으로 모바일 신분증 다운 받으셔서 투표장에서 직접 앱 확인시켜주면 투표 가능하다고 하니 간단하네요. 요즘 세상이 너무 좋아져서 점점 더 간편해지는 것 같아 마음에 들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