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바로 어제 23년 6월 28일부터 만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습니다.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태어나자마자 1살을 먹는 연나이를 사용해서 법적으로 통용되는 만나이와 차이가 있어 그동안 분쟁이 많았는데요. 이번에 태어난 출생일 기준 0세부터 시작하는 만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면서 나이로 인한 혼란이 많이 줄어들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도 급 두살이 어려져서 일단 좋았지만ㅎㅎ 만나이 통일법 시행 초기이다보니 아직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더라구요. 오늘은 만나이로 통일되면서 어떤 점이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만나이 통일법이란?
행정기본법 제7조의 2
행정에 관한 나이는 다른 법령등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나이로 계산하고, 연수로 표시한다. 다만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수로 표시할 수 있다.
민법 제 158조
나이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나이로 계산하고 연수로 표시한다. 다만 1세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수로 표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민법 및 행정기본법에서 '만나이'로 통일하는 것으로 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법령, 계약서, 문서 등에 나오는 나이는 만 표시가 없더라도, 만나이를 뜻합니다. ex) 18세부터 = 만 18세부터
따라서 앞으로 공식 법령이나 문서에서 표시되는 나이는 연나이인지 만나이인지 헷갈릴 필요없이 무조건 만 나이를 기준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또한 지난 23년 6월 28일부터 실질적으로 시행되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2살까지 어려집니다.
만나이란?
출생일 기준으로 0살까지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을 말합니다. 연나이로 계산할 때는 태어나자마자 1살로 생각해서 돌이 지나면 2살로 계산했는데요. 만나이로 계산시엔 태어난 해는 0살로, 즉 개월수로 계산하여 나이를 말하게됩니다.
만나이 계산하는 방법
만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생일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2023년인 올해를 기준으로 본인의 태어난 연도를 빼고 -1을 더 빼줍니다. 예를들어 1992년 7월 2일생은 아직 생일이 지나지않았으니 2023(올해연도) - 태어난연도(1992) - 1 = 30이 되는거죠. 총 2살이 어려집니다.
반대로 생일이 6월 2일이라면 2023(올해연도) - 태어난연도(1992) = 31살이 됩니다.
생일이 지났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게 중요합니다.
기준일별로 계산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면, 아래 링크의 만나이 계산기를 사용해보세요. 본인의 출생년도와 기준일을 입력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
만나이 적용 사례
아직은 만나이가 어색하겠지만, 국제적 기준으로도 만나이를 통용하고 있으니 우리나라도 점점 익숙해져야겠죠. 그렇다면 일상생활에서 만나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한 사례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01. 이제부터 돌은 2살이 아닌 1살
원래 한국식 연나이로 따지면 태어나자마자 1살을 먹게되고, 1년이 지난 생일은 돌잔치를 하죠. 그래서 그때부터 2살을 먹는 것으로 계산하고 초를 2개 꽂는데요.
앞으로는 태어난 생일부터 0세인 만나이로 계산하고, 1살이 되기전까지는 개월수로 나이를 계산합니다. 이건 현재도 아이 개월수로 많이 나이를 말하고 있어서 자연스럽게 적용될 것 같네요.
02. 술 담배를 살 수 있는 나이는?
청소년보호법상 술, 담배를 살 수 있는 성인의 나이는 만나이 통일법과 상관없이 기존과 똑같이 적용됩니다.
청소년법상 청소년이란 만 19세미만인 자를 뜻하며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이 지나면 성인이 됩니다.
따라서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이 지나면 술, 담배를 구매할 수 있고 본인의 생일이 지났는지는 중요하지않습니다.
03. 국민연금 및 노령연금 수급시기는 똑같나요?
국민연금 및 노령연금 수급시기, 공무원과 민간인 정년나이, 65세 어르신 교통비 지원 나이 등은 모두 기존에 만나이로 규정되어있었기때문에 따로 헷갈릴 필요 없습니다. 기존에 법령으로 정해진 부분들은 처음부터 만나이로 정해져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04. 같은 학년의 친구끼리도 그럼 나이가 달라지나요?
만나이로 따지면 생일로 나이를 따지기때문에 같은 학년의 친구끼리도 나이가 달라집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1,2살 차이라도 서열을 따지는 문화가 오래전부터 강했는데요. 이번에 만나이가 기준이 되면 엄격했던 서열 문화도 많이 개선되리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만나이 시행 후 헷갈리는 만나이 통일법 적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갑작스럽게 한살, 두살이 어려져서 헷갈리는 부분도 있을텐데요. 법적인 부분은 대부분 벌써 만나이가 적용되어있는 상황이라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생활정보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웨이 특가 항공권예매 9월 임박특가 할인코드 적용하는방법 (0) | 2023.08.13 |
---|---|
주민등록사실조사 비대면 신청방법 안하면 과태료 50만원?! (0) | 2023.08.03 |
직접 해보고 효과본 이석증 자가치료 방법 추천 (0) | 2023.03.04 |
2023 광양매화축제 기간 및 주차 정보 실시간 CCTV (0) | 2023.03.03 |
연말정산환급금 조회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으로 확인하자! (0) | 2023.03.02 |